1. 아슈톤의 고향... 제발 넣어달라고 하고싶다. 원래 아슈톤의 고향은 개발초기단계에 있었다가 용량문제로 짤렸다고 한다. 이번에는 좀 어떤곳인지 보고싶다.
2. 역시 스타오션1에도 용량문제로 짤린게 2가지 있다. 하나는 마을(정확하게는 성) 하나가 통째로 짤렸고 하나는 악기와 연주곡이 짤려있다. 이번엔 좀 구경해보고 싶다.
3. 발키리프로파일을 아는가? 아마 tri-Ace게임의팬이라면 다 알것이다. 발키리프로파일의 주인공인 전쟁의 여신 발키리, 레나스 발큐리아는 스타오션에서 먼저 언급이 있던 캐릭터이다 스타오션2의 에너지네데 투기장에 가보면 레나스에 대해 예기하는 사람이 있다. 본래 스타오션에 출연하려던 참이었으나 모종의 문제로 다른 작품으로 떨어져나온듯 한데, 스타오션3에서는 등장하고있다. 사실 이게 까메오출연 (맞는말인진 모르겠으나;;;) 으로 등장한게 아니라 본래 스타오션에 이렇게 등장해야 맞는것이다 라는 설이 있다. 아무튼 요번 스타오션2에서는 등장할지 어떨지 모르겠다. 나는 개인적으로 넣어주었으면 한다. 스타오션3에서 나온 니베룬바레스티를 써보고 싶다.
4. 난이도 상향조정. 이건 정말 치명적인 문제다. 솔직히 3의 FD가 아니면 좀 졸린난이도인건 사실이다. 다른사람은 어떨지 모르겠으나 나는 그다지 어렵다는 생각은 한적 없다. 뭐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어렵다고 하는데 스타오션의 매니아라고 지칭하는 사람들은 다들 졸음온다, 쉽다는 예기를 한입으로 말한다. 스타오션3의 FD는 그나마 할만하다고 한입으로 예기한다. 하지만 신의 경지에 달한자들은 이렇게 예기한다. 이것도 모자란다. 더 난이도를 올리기 위해 대근성바니를 장비하고 적의 공격력 3배, 습득폴 10배 팩터를 붙이고 게임한다고 한다. 나 또한 FD는 할만하다고 생각하지만 최고의 난이도라고 보기엔 무리가 있지 않나 생각한다. 그래서 나도 대근성바니를 붙이고 스타오션3DC를 한다. 물론 적공격력3배도 붙인다. 발키리프로파일2에서는 주차를 거듭할때마다 난이도가 올라간다. 최대 11주차까지 올라가는데, 세라픽게이트라는 특수한 던전도 깰때마다 난이도가 올라간다. 최대 100배까지 난이도가 상승한다. 코어유저라면 꽤 귀가 솔깃하고 할만하다 생각할 것이다. 물론 초심자에게는 미쳤어, 저게 사람이 할짓이야 그렇게 예기하겠지만 막상 요령이 생기다보면 이정도는 성에 안찬다. 나는 무제한난이도가 생겼으면 한다. 이 무제한난이도에서만 주차를 거듭할수록 난이도가 무제한으로 계속 올라가고 클리어후의 숨겨진 던전인 1의 칠성의 유적, 2의 시련의 동굴도 발키리프로파일2처럼 던전을 클리어 할때마다 난이도가 무제한으로 계속 올라가고 모든 보스들이 일제히 부활하는 시스템이 생겼으면 한다. 적어도 무제한이라는 조건이 붙어야 코어유저들은 할만하다는 소리가 나온다.
5. 미스터리를 모두 해결해주었으면 한다. 스타오션1은 잘 모르겠고 2에는 상당히 많은 미스터리요소들을 안고있다. 다 나열하려면 꽤 장문이 되서 생략하겠다. 아무튼 이게임에는 굉장히 많은 의문점을 품고있는데, 모두 속시원하게 해결해주었으면 한다.
6. 스타오션2의 전투는 3스타일로 바뀌었으면 좋겠다. 솔직히 2의 스타일은 1로 족하다. 스타오션하면 이미 매니아들만 즐기는게임이 된지 오래다. 이건 일본도 마찬가지요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다. 매니아들까지 납득시키려면 적어도 전투는 3으로 해야한다. 일본쪽 팬들도 한입으로 원하는 사항이다.
7. 스타오션2의 시나리오변경. 이건 스타오션이 외면받는 최대의 이유이다. 항상 막판에 스토리를 망치기 일쑤였다. 적어도 스타오션이 더 사랑받게 하려면 시나리오의 변경은 필수라고 생각한다. 이것이 해결되지 않으면 스타오션은 언제나 비주류로 남을수밖에 없다. 일본쪽이야 워낙 팬층이 두꺼워서 테일즈시리즈와 쌍벽을 이루는 대형타이틀이긴 하지만 아직은 스타오션시리즈의 큰 단점으로 여겨지는 사항으로 남아있다.
8. 스타오션2의 음악은 절대로 바꾸지 말것. 이것을 바꾼다는건 스타오션이 아니라고 하는거나 마찬가지다. 뭐 바뀔일은 없겠지만 어느곡 하나 어레인지하거나 바꾸면 안됀다고 생각한다. 새로 추가되었으면 되었지.... 스타오션1의 음악은 더 웅장하고 멋지게 바뀌는게 옳다. 하지만 2의 경우는 아니다. 이것은 나도 게임을 만들어온 개발자였던 사람으로써 하는 충고이다...
여기까지 내가 요번 차기작에 바라는 사항을 적어보았다. 다른사람은 어떻게 생각할지는 모르겠으나 스타오션을 그만큼 사랑하기 때문에 이렇게 좋은방향으로 변했으면 하는 바람이 있는 것이다. 아직 스타오션2의 경우는 개발이 시작도 안됀거나 마찬가지라서 더 두고봐야할거 같고 1의 경우는 올해안으로 발매될 가능성이 크다. 플레이어블이 나올 정도라면 어느정도 완성되었거나 이미 완성되고 디버깅하는거라는 소리나 마찬가지다...
개인적인 견해지만 1편의 미리는 너무 이뻐졌다. 이정도라면 크로드의 어머니인 이리사 실버스톨리가 어떻게 변신할지 기대되지 않을수 없다. 레나의 경우는 너무 귀여워졌다. 아마도 매니아들의 경향을 잘 아는듯 하다. 대부분의 매니아들의 경우 레나는 귀여워야 한다가 고정관념처럼 자리잡아있다. 성우도 그래서 미즈키나나로 하고 일러스트도 귀엽게 바꾼듯 하다. 사실 2도 3스타일의 전투가 꼭 아니어도 좋다. 캐릭터 체인지라던지 하는 전투시스템좀 제발 어떻게 안해주면 미워할거야 ㄱ-
일본의 4명의 게이머가 플레이해서 만든 작품인데 이젠 혼자만 잘해선 인정받지 못할 시대가 오는거 같다. 실력도 실력이지만 연출력도 화려하고 팀웍이 장난이 아니다
문득 생각난것이 이번 스타오션1,2 리메이크에 협동모드같은거 넣어주었으면 좋겠다. 최대 4인의 게이머가 네트웍 접속해서 4인플레이를 펼치며 여행을 하는것이다. 물론 방장의 시나리오데이터를 따르도록 해야겠지.... (각자 가지고있는 플레이어의 데이터가 다를테니...) 시나리오 진행은 안하고 순전히 게이머들끼리 협력해서 적을 무찌느는 그런모드. 적과 필드의 선택도 자유롭게... 이거 아주 재미있을거 같은데... 각자 키운 캐릭터를 데리고 네트웍에 접속해서 다른 3인의 게이머와 팀웍을 맞춰서 적을 무찌른다... 이 얼마나 감동적인 일인가!
스타오션을 시작한지 이제 10년.... 그동안 세컨드스토리만 19번이나 클리어하고, 3DC만 20번이나 클리어 했으니 참 많이도 했다.
내가 이렇게까지 스타오션만 줄창 즐기는 이유는 간단하다.
음악에 희열을 느끼기 때문이다.
스타오션시리즈의 음악을 담당하고있는 모토이 사쿠라바의 음악은 나에게 희열을 가져다 주는것 같다. 한번 새게임을 시작하면 미친듯이 빠져든다.
마치 뭔가에 홀린듯이, 음악에 희열을 느끼며 ...
나도 왜 이러는지는 모르겠으나 이상하게 BGM에 그렇게 빠져들게된다.
게임의 재미도 한몫을 한다. 미친듯이 재미있다. 정말 그렇게밖에 표현할길이 없는것 같다. 하기야 처음에 이게임을 접했을땐 그야말로 눈돌아가게 만든 게임이니까
개를 괴롭히는것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개가 깨갱거리는 소리에 엄청난 희열을 느낀다고하지? 그래서 계속 괴롭히게 된다고 한다.
나도 10년간 스타오션을 파고들면서 실력도 많이 늘어서 이젠 제법 실력도 인정을 받고있다. 어느정도 위치에 군림하게되면 사람이라는게 교만해지기 시작하는 법이다. 슈팅게임을 파고들때도 그랬고 음악게임을 파고들때도 그랬다. 한번 교만에 빠지기 시작하면 자신을 파멸로 이끌게 되는 법이다. 이미 두번 뜨거운맛을 보았다.
아직까지 스타오션에 관해서는 교만에 빠지지는 않고있지만 언제 어떻게 빠져들게될지 아무도 모르는일이다. 노블레스 오블리제는 이러한 이유로 생겼는지도 모른다.
어쨌거나 나는 스타오션으로 국내 최고가 되겠다느니 일본의 고수를 넘어서겠다느니 하는 생각은 이미 버렸다. 언젠가 한번 그런 마음을 가진적이 있기는 하지만 매우 위험할뻔했다.
많은사람들이 나를 스타오션의 국내본좌라고 불러주는것은 매우 고마운일이기는 하다. 하지만 나는 그러한 부담스러운 칭호보다는 하나의 평범한 스타오션 유저로 보아주었으면 하는 작은 바램이 있다.
세상은 넓은 법이라 꼭 내가 국내 최고라고 단언할수는 없는 법이고 어딘가에 나보다 더 뛰어난 실력자가 있을지 아무도 모르는 일이기 때문이다.
주의점: - 뒤에서 절대로 공격받지 말것 (뒤로부터의 공격은 무조건 데미지 받습니다) - 여왕난무 (원을 그리며 빠른속도로 이동하는 기술) 시전중에는 반드시 피할것, 옆이나 뒤로부터 부딫힐 가능성이 높은데 그러면 데미지받음 - ㅁ버튼을 항상 누르면서 플레이할것 -> 여왕난무의 속도가 너무 빠르기때문에 피하기 곤란함에 대한 대처 - 스타가드싸움에서 절대로 밀리지 말것 (별가루를 서로 주고받는 현상)
이러한 4가지 주의사항을 반드시 지키시기 바랍니다. 시작하기전에 음악 祝福の歌을 연주하여 파라미터를 올립니다. 전투가 시작되면 동료들을 사망시킵니다. 영상에서는 독데미지로 자동으로 죽게 하였습니다. 동료가 사망하면 애정도가 높을수록 분노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그러면 공격력이 2배로 뛰게됩니다.
그러고 다미돌로 회피율을 올립니다. 이것으로 스타가드싸움이나 십자뿌리기 원뿌리기에 대한 공격에 대해 무조건 GUTS방어를 합니다. 다미돌을 쓰자마자 곧바로 영상처럼 좌하단으로 이동한후 그로스를 겁니다 공격력이 1.5배 상승합니다만 그로스 걸기가 생각보다 쉽지 않습니다. 이유는 GUTS방어때문인데 저렇게 좌하단으로 이동해주면서 생기는 시간차를 이용해서 그로스를 그 사이에 성공시키는 것입니다. 빨리말하기스킬 10레벨정도가 필요하죠.
그로스가 걸렸으면 이제 스팅셸을 레나에게 써줍니다. 이어서 곧바로 아이템 신풍토닉으로 공격력을 올려줍니다.
스팅셸은 때릴때마다 독데미지를 거는데 ATK의 약 50배 가량의 독데미지를 입힙니다. 이유는 모르겠으나 데미지가 0000이 떴다면 필시 10만단위에 데미지가 뜨는 것입니다. 아마도 게임의버그라고 생각됩니다. 중요한건 이 독데미지는 때릴때마다 누적된다는 것입니다.
이세리아퀸도 레나도 보면 공격을 받을때마다 별가루를 흩날립니다. 또 공격을 할때마다 별가루를 우수수 쏟아내고있습니다. 이것은 스타가드라고 해서 특수한 추가공격기술입니다. 이 스타가드끼리도 공격판정이 있어서 상대에게 맞으면 당연히 방어시 별가루로 별가루가 우수수 쏟아지는것입니다. 이 싸움에서 밀리면 안됍니다.
여왕난무의 경우는 무조건 피하는게 상책입니다. 이동속도가 너무 빠르고 당하기 쉬워서 매우 위험하기 때문. 다만 이세리아가 언제 여왕난무를 쓸지 모르기 때문에 버튼연타는 절대적으로 금물입니다. 아무생각없이 버튼만 연타해대면 한방에 빈사입니다. 2~3대맞으면 그대로 저승행이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우리나라 -> 그저 그렇다. 아는사람은 추억이 생각난다정도? 일본 -> 덕후급 대화가 오간다.. 그것도 수없이 ㄱ-;;;
확실히 일본쪽이 스타오션의 팬층이 두텁다보니 관심사가 같은 사람들이 많은것이다. 뭐 우리나라쪽도 아는사람은 많긴 하다. 인지도도 무지 높다. 그러나 한번하고 잊어버릴정도의 인지도이다.... 여러번 반복플레이하기엔 우리나라유저들에겐 좀 무리가 있는거 같다. 반면 반복플레이에 강한 일본.... 덕후가 한둘이 아니다 ㄱ- 물론 나도 스타오션에 한해서는 꽤나 많이알고 좋아하기도 하고 그만큼 많이 하기도 하고 연구도 그만큼 많이 하고 빠져들기도 그만큼 많이 빠져든다.... (쉽게말해 오타쿠)
확실히 스타오션영상을 올릴려면 일본에 올려야 인정받는다. 대화수준도 꽤나 깊이있는 주제를 많이 다루기때문에 스타오션의 매니아라면 반드시 일본인들과 커뮤니티를 하라고 권하고 싶다.
스타오션 세컨드스토리 19회차도 어느덧 끝났습니다. 디버그룸 들어가서 2파티로 나누고 보이스컬렉션모으기랑 4인연계콤보들이나 연구해야겠네요. 20회차플레이 채우고 싶지만, 20회차는 슈퍼플레이용으로 남겨두려구요.
레나혼자여행
저레벨클리어
난이도는 유니버스
시련의 동굴 클리어
이세리아퀸도 레나혼자서 격파
버블로션, 비타로션 사용금지
블러디아머 사용금지
스토리 클리어까지는 아이템크리에이션 사용금지 (탤런트 개화용은 예외)
이동간 회복금지. 전투중 회복 역시 금지
최단시간클리어 요망 (스토리 클리어까지 10시간 이내로 클리어 요망)
일단 조건은 이렇게 걸려고 생각중이고 유니버스 꺼내려면 보이스부터 모아야하구요 레나 혼자서 매너로션, 블러디아머없이 이세리아퀸을 저레벨로 이기려면 일단 연구가 필요해요 지금의 실력으로는 하기 도저히 무리. 뭐 스토리 클리어까지는 저레벨클리어는 그다지 어렵지는 않은데 크리에이션이나 회복금지까지 붙으면 역시 만만한 난이도는 아니죠 거기다가 유니버스이므로 절대로 쉽다고는 할수없는 플레이 자금도 역시 저레벨클리어이므로 상당한 제약이 있고 최단시간까지 붙으면 역시 난이도는 상당히 오르죠. 최단시간이야 어차피 19번이나 깼는데 헤맬일은 없지만 10시간 이내로 스토리를 클리어 하려면 꽤나 고생할듯 합니다. 최고의 난관은 시련의동굴로 유니버스에 레벨100 이하로 레나혼자 여길 돌파하려면 난이도는 상상초월. 아무튼 꼭 20회차가 아니라도 저런 슈퍼플레이를 하려면 꽤나 연구 필요할듯 합니다.
일단 크로드 레나로 최단시간, 저레벨클리어부터 연습해야겠습니다.
그건 그렇고 엊그제 테일즈코리아 정모랑 오늘 아는 형이랑 놀면서 접었던 아케이드게임센터를 찾았는데 역시 나이가 30에 가까워지다보니 슈팅게임도 예전같지 않고 음악게임도 예전같지 않군요. 접은지 한달된거 같은데 아무래도 적탄도 이전만큼 잘 안보이고 반응속도도 이전같지 않네요. 음악게임은 이전처럼 손놀림도 마음대로 안돼주고... 세월앞에 장사없다는말이 결코 틀리진 않은거 같습니다
요번에 PSP로 스타오션1,2가 리메이크 된다는 소식이 있었다. (좀 되었지만) 인터뷰에 의하면 1은 풀리메이크, 2는 거의 신작급의 리메이크라고 한다.
개인적으로는 1의 리메이크보다 2의 리메이크에 더 관심이 많은데
1. 전투방식을 SO3처럼....
2. 초필살기 (VP의 결정기라던지 대마법같은 개념)가 있었으면 좋겠다. 특히 레나의 기술이라고 하는 세레스티얼 에로우라는것도 어떤건지 보고싶고 아슈톤의 기술이라고 하는 거츠소드도 보고싶다.
3. 다른건 몰라도 레나에게도 마법보다는 기술도 넣어주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특히 크로드 - 레나의 공중관광은 무척 해보고 싶다 [...] 거기에 결정기라던지 대마법이라던지가 붙으면 정말 환상일거 같지 않은가? 근데 문제는 지금 레나의 복장을 보면 거의 초미니스커트에 어깨부근의 팔에 걸친 갈색의 물건도 그렇고 굉장히 활동에 제약이 많을것도 같긴 하다. 분명히 스커트가 찢어지거나 그러겠지 [.......]
4. 그리고 일러스트는 제발 애니메이션의 것으로 넣어주었으면 하는데 ㄱ- 뭐 지금도 상관은 없는데 솔직히 애니메이션쪽의 일러스트가 더 마음에 든다. 대부분의 애니메이션으로 스타오션을 접한 사람들은 게임을 해보고 일러스트때문에 이질감이 심했다고 한다.
이번 스타오션 세컨드 스토리 리메이크는 거의 신작수준의 리메이크라고 하니까 분명히 바뀌는게 엄청날것으로 기대되긴 한다. PA도 지금의 것도 다 못보았는데 더 추가될듯하고 (그것도 안드로메다급으로 ㄱ-) 전투시스템도 엄청나게 바뀔것으로 보인다. 솔직히 전투시스템은 바꾸었으면 한다. 스타오션3에서 사용하던 방식에 발키리 프로파일에서 사용했던 초필살기 시스템이 붙었으면 하고, 전투중에 기술세트를 바꿀수 있었으면 좋겠고 캐릭터교체도 제발 스타오션3처럼 바뀌었으면 좋겠다. 지금 스타오션2의 캐릭터 교체 시스템은 매우 번거롭긴 하다. 통상기와 기술은 ○와 X버튼으로 약공격 강공격으로 하고...
가장 불만은 배틀스킬의 세트인데 근거리, 원거리에 따라 각각 약, 강으로 세트하는 스타오션3의 방식은 처음에는 상관 없지만 계속 하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다. 나는 전투중에도 테일즈 오브 데스티니 2 처럼 다양한 기술을 세트했으면 좋겠다 라는 생각이 든다. 뭐 숏컷기능도 있으면 좋겠지만 버튼이 모자랄게 분명하다 ㄱ-
이번 세컨드 스토리 리메이크는 전투가 얼마나 재미있고 대전격투적이냐에 따라 앞으로 한 5년내지 10년정도는 더 빠져들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리고 시나리오... 이건 제발 어떻게좀 안돼나;;;;;
난 개인적으로 레나 란포드라는 캐릭터를 매우 좋아한다. 거의 완소수준이나 하악하악이라던지 오덕수준의 것이 아니라 그 이상으로 좋아한다 그래서 닉네임도 레나다. 아마 내가 제일좋아하는 캐릭터가 누구냐고 하면 당연히 레나 란포드다.
이건 스타오션EX의 설정화보집중 일부라고 하는데, 외국사이트에서 건진것 [...] 블로그에 올라오는 이미지가 거의 대부분이 레나 란포드가 있을 정도로 난 이 캐릭터를 매우 좋아한다.
일단 파판택은 생략. 루미네스2를 처음 해보았는데 이거 중독성이 너무 강해..... 스타오션 PSP 나올때까지 루미네스2, 에이스컴뱃X, 테오데2, 파판택이나 하면서 기다려야겠다. 내가 테트리스류 같은 게임은 엄청 쥐약이라 성적이 ㄱ- 뭐 그래도 재미있으면 그만이지 뭐....